
자녀를 기르면서 많이들 교육에 관심을 갖으십니다.
창의, 독서, 영재 등등으로 키우다가 결국은 학원 과외 즉, 공부로 가십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공부를 잘하게하는것,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려고하는것인가?
잘대로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니라면 초 5,6학년때는 이 수많은 자녀교육이 완성된것일까?
이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결론은 한가지 입니다. 두개를 동시에 잘하던가 둘다 제대로 못하던가.
그럼 두개를 동시에 잘할수있는 방법을 고민해야합니다.
부모가 자녀를 위해 공부하고 관심갖어야 할것을 대주제로 두가지로 나누어보겠습니다.
저는 진로교육과 공부잘하는 아이로 키우기 라고 생각합니다.
진로교육을 밑바탕으로 깔아줘야 공부를 하면서 생긴 목표, 조건등을 달성할수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천부적 소질 혹은 가업이 아니라고 한다면 학생의 일은 공부라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학생이라면 공부 잘하는것이 당연합니다.
더욱 중요한것은 공부를 잘하는것이 성공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대주제, 혹은 주축은 이렇게 두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첫번째, 진로
두번째, 공부잘하는 아이
진로교육입니다.
진로의 길은 항상 부모가 지켜봐주어야합니다. 공부잘하는 자녀로 키우는것도 진로교육의 하나이어야합니다.
자녀의 재능 흥미를 찾는것에 집중해주셔야합니다.
경험할수있게 해야하고 그경험들은 관리 되어야합니다.
경험은 근본적 원인, 이유도 내꿈 재능 흥미에 미치는 영향들을 계속 체크해야합니다.
진로교육을 가장 효율적으로 가기위한방법은 계속 블로그를 통해 정리하고 작성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핵심은 재능과 적성을 찾고 지속적으로 미뤄주는것입니다.
또 그것을 위해 지속적으로 부모가 진로에 대해 공부하셔야하고 공부하는 사람을 곁에 둬야합니다.
구체적 방법은 다른글을 읽어보실것을 추천드립니다.
두번째 공부잘하는 아이만들기입니다.
당연히 어렵습니다. 진로가 정해지지않았다면 혹은 정하고 있는 중이라면 공부를 하고있어야합니다. 공부를 잘하는것이 진로결정에 결정적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그럼 공부잘할수있는 구체적 방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바로 습관잡기와 기억력입니다.
습관을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정서지능이론이 필요합니다.
또한 꾸준한 성공 성취, 실패, 피드백의 기회가 있어야합니다.
공부에 대한 기억력을 위한것으로는 메타인지, 자기주도학습, 암기법, 마인드맵, 과목별 수많은 학습법 등 여러가지 방법이 동원되어 진행중입니다.
지속적으로 하나씩 고민하고 공부하며 블로그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모, 자녀 교육 > 부모코칭,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코칭, 자녀교육] 초등 독서의 목표 (0) | 2021.03.01 |
---|---|
[부모코칭, 자녀교육] 태극기 한 눈에 알아보기 (0) | 2018.08.18 |
[부모코칭, 자녀교육] 진로 교육 6. 부모가 바라보는 진로 #2 (0) | 2018.06.18 |
[부모코칭, 자녀교육] 진로 교육 5. 부모가 바라보는 진로 #1 (0) | 2018.06.18 |
[부모코칭, 자녀교육] 공부 잘하는 자녀로 키우기 - 진로와 함께 공부하자 (0) | 2018.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