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자녀 교육/부모코칭, 자녀교육

[부모코칭, 자녀교육] 마인드맵 강의 강좌 3. 좌뇌 우뇌 테스트

사고치다 2018. 6. 18. 16:40
728x90
반응형

 좌뇌와 우뇌의 기능을 알고 나는 어떤 유형인지를 간단한테스트를 통해 알수있습니다.

좌뇌형이라고 해도 100프로 좌뇌사람은 아닙니다.
즉, 오른손 잡이 처럼 사용이 더편하다고 이해하시면됩니다.

우선 좌뇌 우뇌의 역할 잠깐 복습하겠습니다.

좌뇌는 분석 분류 논리를 관장하는 뇌입니다.
우뇌는 직관 감정 예술의 뇌입니다.

그럼 여러분은 어떤유형일까요?

방법은 두가지만 간단히 아시면됩니다.

첫째는 양손을 깍지를 끼는것입니다.
둘째는 팔짱을 껴보는 것입니다.

너무나도 멋진 원빈의 사진처럼 깍지와 팔짱 두가지면 됩니다.

깍지를 껴본후 가장위에 있는 엄지손락이 왼손인지 오른손인지 간단히 적어주세요. 왼/오 중에서 고르셔서 작성해주세요.
참고로 원빈은 오른손 엄지가 가장 위에 있으므로 "오"이라고 작성하심됩니다.

다음은 팔짱을 껴보시면 가장 바깥쪽 혹은 다른 한팔을 덮은 팔을 써주시면 됩니다.
이것도 마참가지로 왼/오 중 작성하시면됩니다.

원빈의 경우는 왼팔이 가장 바깥쪽 혹은 덮고있습니다.
이러면 왼이라고 작성하시면 됩니다.

그럼 원빈의 경우 오/왼 이라고 작성했을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당연히 오오 오왼 왼오 왼왼 이 네가지중 하나로 작성하셨을껍니다.


그럼 이 테스트의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깍지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input을 의미합니다.
팔짱은 정보를 표출하는 output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깍지는 정보를 받는 유형이고 팔짱은 정보를 다른사람들한테 표현하는 유형을 말합니다.


왼왼은 감각과 이미지로 정보를 받고 표출합니다.
왼오는 직감으로 이행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합니다.
오왼은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감정적으로 표현합니다.
오오는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엄마가 자녀에게 세탁물을 나누고 세탁기를 전원을 누르고 섬유유연제를 넣고 세탁물을 넣고 시작버튼을 눌러라 그리고 끝나면 등등 순서대로 얘기를 해주고 나갔는데 친구와의 약속으로 동생한테 부탁해고 나가야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오오는 순서대로 이해하고 동생에게도 하나 둘 순서대로 이야기 해줍니다.
왼왼은 알았어 알았어 하고 들었다가 자신의 감정 이미지대로 동생하게 전하게 됩니다.
오왼은 순서대로 자신은 질문하며 열심히 듣고 이해하지만 동생에게 말할땐 세탁기 잘돌려 하고나갑니다.
왼오는 자신이 들을땐 이미지로 알았다고 걱정하지말라고 듣고 동생에게는 자신이 이해한대로 자세히 하나씩하나씩 이야기 해주는 유형입니다.


간단한 테스트로 좌우뇌 테스트를 할수있습니다.

한가지 자녀교육적 입장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글을 보신분이라면 자녀에게 깍지를 껴보라고 한후 어떤 유형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나 확인바랍니다.

왼손이 위라면 잔소리 길게 말고 감정적으로전달해주시면 됩니다.

오른손이 위라면 하나 하나 설명해주셔야 이해할수있습니다.

이런 간단한 테스트로도 자녀와의 다툼없이 대화할수있습니다.

두번 세번 읽어보시고 꼭 한번씩 하기를 권장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