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선발도구 평가

1. 예측치 준거치 양적접근
- 통계적 기법에 기반하여 예측치를 도출
- 프로파일 방식 - 기업에서 성공하는 종업원의 평균적, 표준적 자질을 과거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이상적 프로파일을 기초로 개별 지원자의 자질 측정하여 유사성 비교(레벨, 형태에 따라 판별)
- 회귀분석- 과거 수집된 다양한 예측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회귀방정식을 도출, 지원자들의 예측치를 회귀방정식에 대입하여 지원자 선별
- 컷오프방식-예측치별 기준 선정하여 미충족시 탈락
2. 신뢰성 검증방법
- 실시-재실시 검증 - 동일시험 동일집단을 대상으로 시간차를 두고 얼마나 유사한 결과 도출되는지 살펴봄, 두간견 시간차 길수록 신뢰성 낮아짐
- 대체형식- 수준, 내용측면에서 유사한 두개의 시험을 개발하여 동일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시험보게 하여 상관계수를 측정
- 평가자 간 신뢰성- 여러평가자가 동일 선발방식으로 동일대상에 대해 동일시점에서 평가하여 유사성 측정
- 내적일관성-특정 평가집단에 한 종류의 선발방식 적용할때 평가항목간 일관성을 판단, 평가항목간 상관관계수 평균치, 전체점수와 항목점수간의 상관계수 평균치 계산
3. 타당성 검증방법
- 동시타당성 : 직무를 담당하는 현직 종업원들의 업무성과 관련, 선발도구를 현직 종업원에게 실시, 예측치 준거치 적용시점 동일
- 예측타당성 지원자의 미래 직무성과를 어느정도 예측할수있는지 정도, 선발점수와 입사후 일정시간 경과후 달성한 직무성과와 비교, 예측치 준거치 적용시점 상이
-내용타당성 : 선발도구의 측정 내용이 원래 취지를 담고있느느지
-구성타당성: 선발도구 측정 항목이 이론적으로 맞는지, 논리적인지를 가지는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