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 자녀 교육/부모코칭, 자녀교육

[부모코칭, 자녀교육] 고사성어, 어원을 공부하자 (마인드맵, 한자성어 )

by 사고치다 2018. 6. 18.
728x90
반응형

부모코칭, 자녀교육을 위한 교육튜브


고사성어는 참 재미있고 신기한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는 체험학슴, 수행평가, 독서활동 후 마지막에 한줄로 표현해보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고사성어를 공부해야하는 이유로 설명해보겠습니다.

그럼시작하겠습니다.
먼저 고사성어에 대해알아보겠습니다.
고사성어는 옛날부터 전해저오는 이야기를 비유적인 내용을 담은 함축적인 글자입니다.
이 안에는 그당시 사람들의 심리, 감정, 상황들어있는 관용구입니다.
여기서 하나 집고넘어갈것이있습니다.
고사성어는 알겠는데 한자성어와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한자성어는 고사성어가 옛이야기입니다. 당연히 중국과 한국의 옛날이야기 이고 그당시 썻던 글이 한자이기에 그 고사성어를 한자로 썼습니다.
그래서 한자성어라 불립니다.
당연히 사자성어는 4자로 이루어진 고사성어, 한자성어를 말합니다.
단, 고사성어는 전부 4자로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2자도있고 5자도있고 등등 많습니다.

그럼 고사성어는 옛날부터오던 관용구라는데 관용구는 무엇이냐면 옛부터 입에서 입으로 전한이야기로 덩어리나, 묶음으로 되어있는 영어의 숙어같은 말입니다.

이러한 고사성어를 공부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고사성어는 일상에서 쓰입니다. 듣고 뜻을 모르면 대화가 되지않습니다.

역시강남, 맹모삼천의 종착지였다.
이젠 완전히 계륵이 되었다.
난이제 보이콧할것이다.

보시는것처럼 맹모삼천, 계륵, 보이콧이라는 의미를 모르면 대화가 되지않습니다.

보이콧도 고사성어입니다.
서양에서도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가 관용구로 남은 말들이 있습니다.
옛날 아일랜드에 보이콧이라는 사장이 있었고 밥, 돈을 달라고 일하는 사람들이 찾아가서 달라고했는데 안주고 쳐다도보지않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이 모여서 무엇인가를 요구하는 의미가 보이콧이라는 뜻이되었습니다.

둘째 이유입니다.
고사성어는 좌뇌와 우뇌를 활용하예 뇌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좌뇌는 논리,글을 관리하고 우뇌는 상상,이미지를 관장합니다.

고사성어를 듣고 직역된 뜻과 관련된 이야기를 듣습니다. 여기에 이미지를 떠올리고 뜻을 이해하면 다시 좌뇌에서 그 진짜 의미를 알수있습니다.
즉, 좌뇌와 우뇌를 함께 사용하며 개발할수 있는 도구는 많지만 가장대표적인 마인드맵, 스토리 텔링을 모두 사용할수있는 도구는 고사성어입니다.

각주구검은 어떤사람이 강을 건너다가 칼을 빠뜨렸습니다. 근데 그 칼을 다시 찾기 위해 떨어뜨린 장소를 표시한다고 하여 배위에 표시를 해놓았습니다.

이야기를 듣고 이미지를 떠올리셨나요?
그럼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

떠내려가는 배에서 그배에 표시를 해놓으면 못찾을께 뻔한데 정말 아둔하고 융통성없는 행동이라는 생각을 하실껍니다.
맞습니다. 각주구검의 실제 의미는 그 이야기가 아닌 아둔하고 융통성이 없는 행동이나 사람을 뜻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고사성어를 공부하는 이유 두가지를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나 저는 한가지를 추가하겠습니다.
바로 재미입니다.
고사성어의 배경 이야기가 정말 재미있습니다. 그 이야기가 의미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면 더 재미있습니다.

여기에 한자를 함게 공부할수있는것은 덤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재미있고 실용적인 고사성어들을 골라서 마인드맵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키워드, 한자, 직역, 이야기, 의미, 비교대조, 실생활
등의 주가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기대바랍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