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무노무 잘해/인사노무관리

[인사] 노동조합 기능, 전략

by 사고치다 2022. 12. 17.
728x90
반응형


1. 노동조합 등장배경
- 노동조합의 등장=f(직무불만족,수단성)
- 직무불만족시 다양한 행위 표출, 능동적, 수동적 표출행동과 파괴적, 건설적 행동으로 구분
- 이탈 : 조직을 떠나는 행동, 노사관계시스템에서 이탈
- 주장 : 상황 개선을 위해 문제 제기, 정보 공유의 기능을 통해 정보 비대칭 해소,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가능
- 충성 : 낙관적으로 상황 개선을 기다림
- 방관 : 상황 악화를 허용, 결근, 지각, 직무 몰입도 저하

2. 노조 기능 전통적
- 경제적 기능 : 교섭력과 협상력의미, 효용극대화, 쟁의 행위
- 공제적 기증 : 구성원 간에 형성되는 대내적 관계, 불의 사고 피해대비 기금 설치, 운영
- 정치적 기능 : 국가나 사회단체 협상 교섭의 대상

3. 노조기능 현대적
- 기본기능(1차적) : 노동조합을 조직하고 유지, 확정하는 기능
- 집행기능(2차적) : 조합의 목적인 근로조건 유지, 개선을 위해 활동하는 기능/ 단체교섭기능/ 경제활동기능/ 정치활동 기능
- 참모기능(3차적) : 조합의 기본기능과 집행기능을 더욱 효과적 수행하도록 보조/ 교육 및 활동 기능/ 조사연구 활동 기능/ 사회봉사활동 기능

4. 노조 전략 사용자 전략적 선태
- 형상전략
   - 회피전략 : 사용자가 노조를 가급적 회피하려는 전략/ BATNA역할/하청 아웃소싱
   - 강압전략 : 강력한 협상을 바탕으로 노조에게 양보 강제하는 전략
   - 포용전략 : 노사합의에 의한 변화 추구하는 전략, 근본적 문제해결에 집중
- 고용전략
   - 신자유주의적 전략: 외부노동시장에 의존하여 고용유연성 확보
   - 이원화 전략 : 핵심인력 내부노동시장/ 주변 인력 외부노동시장
   - 사회조합주의적 전략 : 내부노동시장 활용, 노조의 힘 강력

5. 노조 전략 노조 전략적 선택
- 절대반대 : 경영혁신이나 구조조정이 노조에게 부정적 영향 미칠것 예상될때 시행을 적극반대, 경영칭 실시의지까지 꺾는 전략
- 불개입 : 혁신이나 구조조종에 따른 결과를 확신하기 어려운 경우
- 소극적 개입 : 구성원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노조 지도부에서 소극적 참여
- 적극적 참여 : 적극적인 혁신과 구조조정 필요 인식 시 도입과 운영에 적극 참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