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 또는 미취학 엄마들에게 가장많이 듣는 질문이있습니다.
"공부잘하는 자녀로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분야도 없이 구체적으로 과목을 지정도없이 질문들 하십니다.
밑도 끝도 없는 질문입니다.
어느 순간부터 이 질문을 하시면 대답할 것들을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그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
물론 밑도끝도 없는 질문에 대한 밑도 끝도 없는 대답이라고 생각하시고 읽어봐주시면 됩니다.
두가지를 말씀드리고 그두가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다시한번정식 글로 다뤄보려고 합니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이란 정의 부터 내리면, 시험을 잘보고 좋은 성적을 거두며, 어떤 과목을 같은 시간을 주고 같이 시작해도 더 많이 알고 기억하는 학생이라고 전제를 깔고 시작하겠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은 딱 두가지입니다.
첫째가 지속성입니다.
둘째가 기억력입니다.
이두가지면 공부잘하는 자녀로 키울수있습니다.
지속성과 기억력에 대해 앞으로 심도있게 다룰것이기에 이번글에서는 간략하게 말씀만 드리겠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다음글까지 다 읽어주세요.
첫번째 지속성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지속성은 무엇일까요?
지속성은 끊임없이 꾸준히 잡은 목표를 진행해가는 것을 말합니다.
좋은 습관만들기로가 바꿔도 같은 의미일듯합니다.
무조건 참어, 버티라는 이야기로 지속성을 키울수는 없습니다.
한번은 가능해도 두번세번은 그고통을 알기에 지켜지기가 더 어렵습니다.
제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지속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스카이 혹은 외국 좋은 대학을 가고 졸업했다는 뜻은 단순히 똑똑해서가 아니라 목표를 위해 지속성을 가지고 참고버텼기 때문에 귀감을 살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참고 버티는 힘을 우리는 인내심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인내심은 교육쪽에서는 만족지연 능력이라고 합니다.
마시멜로를 주고 기다리면 두개준다라고 하고 지켜모는 실험이있습니다. 바로 먹는 아이들과 참는 아이들로 나눠집니다.
마시멜로 실험이라는 유명한 실험으로 인내심등이 교육 성공에 미치는 영향 등을 미친다고 증명되고있습니다.
그렇다면 만족지연 능력이라는 능력을높이기 위한 이론적 방법은 정서지능을 높일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점점 깊어지는데 따로 재밌게다뤄보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지속성을 위해서 인내심을 키워줘야한다는것입니다.
또한 공부하다가 누구나 한번쯤 온다는 스럼프를 극복하는 방법을 만들어 놓으셔야 합니다.
스포츠, 친구, 취미 등을 해야하는 이유입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절대 네버 1~2년 싸움이아닌 적어도 10년동안의 마라톤과 같은 싸움이라는 것을 잊지말아주세요.
두번째 기억력에 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이것도 깊어질수가 있어 가벼운 부분만 개괄적으로 말씀드리고 따로 또 다루겠습니다.
공부잘하는 방법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공부한 내용이 다기억나면서 주관식이던 객관식 문제를 막 풀어 내는 겁니다.
그럼 당연히 기억력이라는 것에 관심이 갈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뇌얘기를 해야합니다.
기억에 관련된 뇌이야기는 좌뇌 우뇌를 활용하는 마인드맵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 기억법을 생각해보겠습니다.
공부와 기억법을 생각해보시면, 당연히 학과 습을 나눠야합니다.
그리고 습, 즉 익히는 방법을 생각하셔야합니다.
기억을 오래 하기위해서는 잊지말아야합니다.
잊지말아야하는 방법, 다시 복습해야하는 기간을 연구한것이 있습니다.
바로 가장 유명한 에빙하우스 망각곡선을 아셔야합니다.
망각곡선의 기간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으로 연결을 시켜야합니다.
그렇다면 잊지않으려면 무엇을 공부해야할까요?
당연히 내가 아는것은 대충보던가 안봐도되고 모르는 부분은 최선을 다해 공부해야합니다.
예 맞습니다.
바로 지금 얘기한것이 메타인지입니다.
내가 모르는것은 확인할수있는 능력입니다.
말장난같지만, 내가 모르는 것을 알아야 공부할것과 안할것을 구분지어 진다는 것입니다.
또 깊어지는데 간단히말씀드리겠습니다.
기억력을 위해 공부하는 방법을 망각곡선에 의해 자기주도학습을 해야합니다.
또한 공부한다는 것은 메타인지에 의해 무엇을 공부해야하는 지를 알아야그것을 복습하여 잊지않도록 하는것입니다.
이렇게 적고보니 앞으로 연재해야할것이 많아 졌습니다.
그래도 기본적으로 준비한 공부잘하는방법에 대한 답변입니다.
어렵다고 하실수있으나 하나씩 보시고 알아가면서 자녀가 잘 성장하는것을 보시면 성취감까지 있을꺼라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공부에만 집중을 했지만 인성을 챙겨주셔야합니다.
공부만 잘하는 쓰레기양성은 금지입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모, 자녀 교육 > 부모코칭,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코칭, 자녀교육] 진로 교육 6. 부모가 바라보는 진로 #2 (0) | 2018.06.18 |
---|---|
[부모코칭, 자녀교육] 진로 교육 5. 부모가 바라보는 진로 #1 (0) | 2018.06.18 |
[부모코칭, 자녀교육] 진로 교육 4. 미래가 바라보는 진로 (0) | 2018.06.18 |
[부모코칭, 자녀교육] 유대인 교육 - 유대인의 생각하는 힘 (0) | 2018.06.18 |
[부모코칭, 자녀교육] 진로 교육 3. 진로 교육을 바라보는 세가지 관점 (0) | 2018.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