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무노무 잘해/인사노무관리

[인사] 평가 오류, 집단(팀)차원 평가

by 사고치다 2022. 12. 2.
728x90
반응형


1. 평가오류 종류 -의도/ 인지x/ 정보부족
(의도적)
- 항상오류 : 개인적 성향에 근거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오류
  - 관대화 경향 : 실제 능력보다 더 높게 평가
  - 중심화 경향: 평가 척도의 중간에 피평가자를 두려는 경향
  - 가혹화 경향 : 실제 능력보다 너 낮게 평가
- 상동오류 : 특정한 유형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에 근거하여 발생
- 연공오류 : 피평가자의 연령, 근속연수 등의 연공에 의해 평가
- 균형효과 : 실제 능력보다 피평가자의 집단에서 균형을 유지하여 평가
(인지x)
- 최초효과 : 처음으로 인지한 정보, 행동이 이후 평가에 지속적 영향
- 후광효과 : 하나의 특징이 전체를 평가하는 경향
- 시간적 오류 : 최근 겪은 경험, 사건이 더 쉽게 활용되는 경향
- 상관편견: 평가자가 평가항목을 정확히 인지못하여 항목의 점수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책정하는 경향
- 대비오류 : 특정 피평가자 순서 다음으로 들어가서 다음피평가자의 평가가 영향을 주는 경향
- 유사성오류 : 평가자 자신의 가치관 행동, 태도 등과 비슷한 피평가자를 더 후하거나 박하게 평가하는 경향
(정보부족)
- 2차평가자 오류 : 차상위 상사의 실제 직원의 능력, 성과에 대한 인지범위 한계
- 중심화 경향 : 평가기준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중심화 경향이 나타나는 경향
- 귀인과정오류 : 피평가자의 행동원인을 잘못 판단하는 경향

2. 평가오류 극복방안 - 평가자 훈련
- RET : 평가자의 항상오류 등의 오류에 빠지지 않게 하는 훈련
- FOR : 본보기의 평가 실례를 제시
- 정보처리접근 : 평가자의 인지적 한계를 효과적으로 하는 훈련, 관찰훈련, 의사결정 훈련

3. 집단평가-집단역량평가
- 대표적 판단기준 : 집단능력, 집단 응집성
- 집단능력 : 각자 보유한 능력이 팀의 효과성증진으로 정렬 align 정도
- 집단 응집성 : 구성권이 서로 유인이 되어 집단내 머무르도록 동기부여 되는 정도
- 집단/팀의 필수능력 : 기술적 전문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결정능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