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연공급 장단점
- 장 : 노사관계 안정화/ 기업에 대한 충성심/ 동양적 조직풍토/ 상위직 종사자 만족도 증진/ 폐쇄적 노동시장 활용
- 단 : 인건비 부담/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어려움/ 젊은층 사기저하/ 소극적 직무태도 야기/ 전무긱술 인력 확보 어려움
2. 직무급 CSF
- 성공적 직무급 시행을 위해 직무분석, 직무평가의 신뢰상 타당성 필수
- 직무가치와 종업원 능력의 간격(gap) 최소화
- 직무평가, 직무급 실시에 대한 노사간 합의 도출 필요
-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를 위한 직무에 적합한 인재이동 가능
3. 직능급 장단점
- 장 : 근로의욕, 자기개발 의지 독려/ 기능적 유연성 증가/ 구성원의 ksa상승으로 경영성과 향상/ 경력개발의 일환/ 직능자격제도로 임금지금액 미리 예상하여 안정성 증대
- 단 : 형식적 자격기준에 치우칠 수 있음/ 자격취득 시험일수록 경쟁이 심해짐, 붕위기 저해/ 역량 정의가 모호한 경우 임금 공정섬 침해/ 능력, 역량의 타당성, 신뢰성 문제/ 역량진부화시 무용한 임금제도로 전략
4. 직능급 vs 직무급
-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 (능)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평가 / (무)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직무분석, 직무평가의 결과
- 직무표준화 선행여부 : (능)전제조건 요구x/ (무) 전제조건 요구o
- 직무평가 선행여부 : (능)요구x/ (무)요구o
- 적정배치 여부 : (능)직능, 역량 기준 적정배치 기준 제시/ (무)임금, 능력 불일치로 문제 발생
- 속인적 요소 : (능)근속년수, 학력 일부 반영/ (무)속인적 요소 배제
'노무노무 잘해 > 인사노무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 메리트제도, 연봉제, 임금평가관리 (0) | 2022.12.09 |
---|---|
[인사] 성과급, 인센티브(개인, 집단), 이익배분계획 장단점 (0) | 2022.12.08 |
[인사] 임금수준관리, 최저임금제, 지배임금률, 경영전략(밀코비치) (0) | 2022.12.06 |
[인사] 균형성과관리지표BSC, 보상관리 (0) | 2022.12.04 |
[인사] 평가 오류, 집단(팀)차원 평가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