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배치전환 기본원칙
- 적재적소적시주의 : 직무가 요구하는 조건과 종업원의 역량 간 차이를 최소화 하는 방식, 자격요건과 개인보유 역량의 적합성이 충족되어야 함
- 인재육성주의 : 종업원의 역략 향상, 새 직무 수행-> 학습의욕 고취, 성장욕구 충족
- 균형주의 : 전체종업원 상황을 고려->조직력 증가, 협동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되는 방향 실시
2. 배치전환 적합성 극대화 방법
- 직무특성모형의 활용 : 적재적소적시주의 + JCM->mps높은 직무에 gns가 높은 종업원 배치, mps가 낮은 직무에 gns가 낮은 종업원 배치
- 계량적 기법 : 자격요건과 구성원의 역량 차이 최소화
- 대체도 활용
3. 배치전환 평가
- 당사자 의사 확인 : 당사자에게 최종의사, 동의 필요
- 공정성 : 기업내 이동 기회가 종업들에게 공저하게 부여되었는지 정도
- 타당성 : 이동 기준이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설정되었는지
- 효과성 : 근무기간의 적절성 여부, 전문지식 및 능력의 성취 정도
- 경력경로 : 기업의 이동정책이 종업원들의 경력경로 고려
- 사후관리 : 재교육 훈련 제고, 근무환경의 개서
4. 근로시간 단축효과
- 생산성 향상에 도움 : 피로 스트레스 완화, 산업재해 예방
- 삶의 질 제고, wlb증진
- 고용창출 기회 : 작업공유로 임금삭감, 근로시간 단축
- 장기간 근로관행 의존하는 비용중심적 경쟁전략 탈피 : 성장구조 개선
5. 근로시간 유연화
- 경제적 효율성 : 탁력적 근무시간제- 법정 근로시간을 변형하는 모든 형태
- 사회적 효율성 :
- 집중근무시간제 : 주당근무시간 고정, 일당 근로시간 증가로 주당 근로일수 조정
- 선택적 근로시간 : 일정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총근로시간에 맞추어 원하는 대로 근무시간 조정
- 근로시간 간주 :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 서면합의한 시간을 근로시간으로 간주
- 근로시간 계정제 : 독일, 계약 근무시간과 실제근무시간의 차이를 계정에 산입해 운영하는 제도
- 부분근로시간제 : 정규시간보다 적은 시간 동안 업무 수행
'노무노무 잘해 > 인사노무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 사회적 교환이론, 심리적 계약, 인작자원 아키텍쳐 (0) | 2022.12.15 |
---|---|
[인사] 인간관계관리, 스트레스 관리 (0) | 2022.12.14 |
[인사] 퇴직연금제도, 선택적 복리후생, 복리후생 평가 (0) | 2022.12.10 |
[인사] 메리트제도, 연봉제, 임금평가관리 (0) | 2022.12.09 |
[인사] 성과급, 인센티브(개인, 집단), 이익배분계획 장단점 (0) | 2022.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