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 자녀 교육/수학 교육

[부모코칭, 자녀교육] 수학 공부법 2. 수학을 언제 어떻게 포기 하는가?

by 사고치다 2018. 6. 18.
728x90
반응형

수학은 대학입시의 치트키입니다.
대학입시는 인생의 치트키입니다.
물론 대학으로 성공하지 않을 수있습니다.
그래도 성공의 1%라도 높다면 도전해야합니다.

수포자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너무나 쉽게 한단어로 표현할수있습니다.

수학을 포기한 사람.

그렇게 유아시기부터 산수와 수학을 가르쳤건만 수포자라고 얘기합니다.

"너 옛날에 수학 잘했자나?"

이한마디와 함께 수학 과외와 학원을 보내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니 더솔직히 얘기하면 과외,학원이라는 이름으로 부모의 책을을 면제 하려고합니다.

오늘은 이러한상황에서 수포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스스로가 난 수포자야 말하는 순서를 이야기 하겠습니다.


수포자가 만들어지는것을 생각해보면 언제라는 시기와 왜라는 이유를 알아햡니다.

언제 수포자가 만들어지는지를 알면 조금더 계획하에 관리하고 대비할수있습니다.

위의 표를 보시면 수학의 빙하기라는 글에 대한 그래프를 볼수있습니다.

우리아이수학약점 이라는 책에서 나오는 부분입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한번읽어 보실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선 초등1 2학년의 셈, 산수 부분에서 대부분의 아이들은 수학을 잘하고 알고있습니다.

선행학습이라는 것이 거의 다 되어있습니다.
또한 논리력, 워킹메모리능력이 필요없는 단순 셈을 하는것은 누구나 연습을 통해 이해하면 되는 능력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집고넘어갈 부분이 있습니다.
수학은 이해하면 되는 과목이라고들 얘기합니다.
물론 맞습니다.

그러나 수학은 이해만 하는것이 아닙니다.
이해한것을 구현할수있는 논리력이 있어야합니다.
또한 구현해놓은것을 논리적으로 풀어나갈때 머리속에 띄어놓고 풀어갈수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산수 셈으로 수학이라는 과목을 보다가 어려움을 겪는 시기가 옵니다.
즉 수학이라는 과목이 아는부분에서 웃으며 풀고 손들고 발표할수 있는과목에서 헷깔리는 부분이 나오는 시기를 만납니다.

바로 수학적 논리력과 워킹메모리 능력이 필요한 초고(초 4, 5학년)에서 큰수 분수 등을 만나는 시기입니다.

이때부터 많은 학생들이 수학이 어려워집니다.

그러다가 드디어 수학의 시작인 함수, 방정식을 만나게됩니다.

수학적 논리력과 워킹메모리 능력의 절대강자를 만나게 되면 어려워가 아닌 절망이 오게됩니다.

설명으로, 눈으로는 보고 이해가 가더라도 답으로 혹은 자신이 그과정을 구현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실수라는 이야기를 핑계로 점점 어려워집니다

이런상황이 되면 수포자의 인원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수학잘하는 사람이 특이한사람이 되는 시기가 됩니다.

인문계 90프로가 수포자라는 얘기가 있을정도입니다.

현실적으로 수학의 쉬운부분 자신이 아는 부분빼고 다 찍게되면 공부한내용, 학원 과외에서 풀었던 내용도 적용할수 없게 됩니다.

실례로 수학모의고사때 반이상이 시간이 남고 한숨자는 시간이라고 얘기하곤 합니다.

그렇게 수학 선행학습과 과외 학원을 보내는데 왜이런 상황이 생기는 것일까요?

90퍼센트라는 수치가틀린것일까요?

아님 여러분의 자녀는 똑똑하고 지금 중고등학생들은 멍청해서 일까요?

그이유는 다음 게시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